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제주서귀포 맛집 #제주여행
- 해외여행
- 국내여행
- 라스베가스
- 루나폴 #가을밤제주여행 #제주달의요정
- EzHantar
- 다견인 #3마리반려견 #반려인 #탁구콜라뚱이 #반려견
- 코타키나발루 #툰구압둘라만해양공원 #사피섬 #마누칸섬
- 지리산 #지리산천왕봉 #백무동천왕봉
- 코타키나발루여행 #코타키나발루마사지
- 티스토리챌린지
- 코나키나발루콘도 #코타키나발루0.5박 #Near Airport K Avenue #수영장있는숙소
- 베트남푸꾸옥 #푸꾸옥 #동남아
- 코타키나발루 #샹그릴라라사리아 #샹그릴라라사리아셔틀버스
- 여행
- 최민식
- 코타키나발루짐보관서비스 #
- 오블완
- 논짓물수영장 #예래동 #제주도 #서귀포논짓물수영장
- 담낭절제 #담석 #전신마취
- 코타키나발루 #웰컴씨푸드
- 싱가폴
- 크루즈
- 코타키나발루한식당 #코나키나발루강남bbq
- 태국여행 #코로나시국에태국여행 #너무좋은여행 #상관말고나가라
- 영화
- 하정우
- 조진웅
- 제주도 #생각하는정원 #성범영원장님 #비오는날
- 수영배우기 #철인3종의첫걸음 #버킷리스트추가
- Today
- Total
목록여행&사진/국내 (42)
일상에서의 탈출을 꿈꾸며

마침 제주에 갔는데 대정 5일장이다. 서귀포 올레시장은 휴장이었는데 대정 시장은 장이 선 것이다. 시장 앞에 오래된 시골집 같은 곳에 찻집이 있었다. 독특하게 찻집+공방+공인중개사 갑툭튀 공인중개사까지 하고 있었다. 가게 바깥양반이 공인중개사를 하신다고 한다..... 찻집답게 깔끔 그 자체다. 맛도 기가 막히다. 모슬포항에 가신다면 적극 추천해 드리고 싶다.

화악산은 정상에 군부대가 있어서 중봉이 정상을 대신한다. 최단코스는 트랙킹이라 불러도 손색없을 산행코스다. 보통은 화악터널에서 시작하는데 그것마저도 귀찮으면 공군부대 들어가는 중간에 작은 공터가 있는데 그곳에서 시작해도 된다. 하지만 등산이니 어느 정도는 산을 조금 올라야 하지 않을까 싶어서 화악터널 코스를 택했다. 터널을 보고 좌측방향에 산악회 리본이 있다. 임도로 가는 코스 중 저곳은 오르막에 너덜길 , 밀림과 같은 산길을 가야 하지만 거리가 가장 짧다. 오른쪽으로도 가는 길이 있다. 그 길은 순수한(?) 임도다. 등산에 묘미는 전혀 없는..... 그냥 편하게 걷고 싶으신 분들은 오른쪽으로 가시면 되겠다. 20분 정도의 등산로를 오르면 임도가 나온다. 이제부턴 임도만 주야장천 오르면 된다. 트랙킹의 ..

백운산은 광양이 유명한데 가까운 곳 포천에 똑같은 이름에 백운산이 있었다. 등산코스가 5개나 있는 나름 괜찮은 산이다. 이번 등산은 1코스로 올라서 4코스로 하산. 원래는 5코스로 내려올 것인가 4코스로 내려 올것인가 고민이 많았다. 광덕고개에서 백운봉 정상까지는 쉽게 오를 수 있다. 난 그게 싫었다. 너무 쉬운 코스는 싫어....... 흥룡사 -봉래 굴-백운산 정상 - 삼각봉 - 도마치봉 -향적봉 - 흥룡사(원점회귀) 첫 1km까지는 상당히 벅찬 오르막이다. 그리고 정상까지는 평지는 별로 없고 오르막이 계속된다. 정상까지는 꾸준한 오르막이 있어 쉽지만은 않은 코스다. 그냥.. 별거 없다. 삼각봉이라는 표식이 덜렁 하나 있다는 거밖에...... 도마치봉에서 5코스로 택하는 걸 포기했다 상당히 위험하다는 ..

철원9경중 마지막 "학저수지 여명"이다. 여기서 틀린게 있다. 철원군청에서도 이것은 바로 잡아야 할것이다. 1.학저수지 여명이 아니고 학저수지 일몰이다. 여명이라 함은 해가 뜨는 상황을 말하는데 학저수지에서 여명은 학저수지 건너편 산에서 이루어 진다. 학저수지는 서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일몰이 맞다. 일몰과 일몰이후 별의 일주사진을 찍기에 적합한곳이다. 학저수지 여명은 없다. 학저수지 일몰이 있을뿐이다. 해가 뜨기전, 오늘은 날씨가 궂어 여명은 커녕 해조차 못볼거 같다. 워낙 철원이 겨울철새들의 이동지로 유명하고 학저수지 또한 많은 철새들이 찾아와 새를 보고 사진을 찍을수 있는 조망대가 따로 놓여있다. 솔직히 여명의 멋진모습을 기대하고 같지만 궂은 날씨와, 해가 떠도 결코 내가 생각했던 그런 모습은 나올거..

작년 이맘때쯤 소이산과 생태녹색길, 지뢰밭길을 걸었던 적이 있다. 그때 소이산을 올랐으면서도 이번에 소이산 재송평 이라는 지역이 따로 있는줄 알고 갔다가, 어~작년 에 왔던 곳이네.하고 허탈해지는 순간이었다. 작년에 왔을 때는 평화 마루공원은 문을 닫아서 전망대와 생태녹색길,지뢰밭꽃길만 걸었다. 오늘은 왜 오픈을 했을까..... 10월 연휴 때문인지 사람들도 바글바글...... 작년엔 개미새끼 한 마리 없던 곳이 오늘은 연휴 때문일까, 사람들로 바글바글하다. 하긴, 해발 362m밖에 안되니 간단히 철원 노동당 당사나 백마고지를 보고 철원평야쯤은 쉽게 볼 수 있어 찾았을것이다. 재송평은 뭔 뜻인가 했더니 소나무가 많이 있어서 그럴 거라는 추측만 있더라. 그런데 무슨 소나무가 많다는 건지 도저히 이해가 안 ..

남한에서 민간인이 등산로를 통해 오를 수 있는 최북단의 산. 민통선과 가장 가까운 산. 연천에 "고대산"에 올랐다. 블로그를 통해서 "2코스로 올라 3코스로 하산"하는 게 가장 좋다는 글을 보고 같은 코스를 택했다. 고대산 자연휴양림 주차장 ⇒ 말등바위⇒칼바위 ⇒대광봉⇒삼각봉⇒고대봉 정상⇒마이 울⇒표범폭포⇒ 약수터⇒캠핑장 입구⇒ 주차장 원점회귀. 말등바위를 앞두고 급경사가 시작된다. 말등바위를 지나 칼바위 가는 도중 만나는 이정표인데. 왼쪽도 정상 가는 길 오른쪽도 정상 가는 길...... 양쪽 다 똑같이 한 곳에서 만난다. 어느 쪽으로 갈지 고민할 필요 없긴 한데..... 조금 덜 경사진 곳은 좌측. 말등바위를 지나면 나무계단으로 된 긴~~ 오르막이 시작된다. 체력 안배를 잘해야 한다. 평지가 거의 없..

작년 이맘때는 코스모스 십리길(일명 고석정 꽃밭)은 유적 발굴과 코로나19로 인하여 문을 열지 않았다. 올해는 새단장을 하고 문을 열었다. 아직 시기가 시기인지라 코스모스는 활짝 피지 않았지만 맨드라미를 비롯한 형형색색의 꽃이 활짝 만개하여 사람 들을 반기고 있다. 2021.09.10~2021.10.01까지 오픈하니 시간 내서 한번 방문해도 좋을 듯싶다.

저번에 각흘산에서 조난당한 후로 산행이 아주 조심스러웠다. 무엇보다 명성산 후기가 거의다 억새밭 군락지에서 멈춘 게 많았고 내려오는 하산길이 길이 없어 고생했다는 후기가 몇 있어서 그냥 정상찍고 다시 왔던 길로 내려가는걸로. 하지만, 막상 등반을 시작할 때쯤 다시 이길로 오기엔 재미가 없을거 같아 정상을 찍고 한바퀴 돌아 산정호수로 돌아오는 코스를 택하기로 했다. 1. 등반코스 산정호수 주차장(네비는 "상동 주차장") ⇒ 비선폭포 ⇒ 등룡폭포(비선폭포 갈림길에서 책바위 코스가 있지만 오르막 코스이고 너무 힘들다고 해서 좀 돌아가지만 등룡폭포 코스로 택했다) ⇒군사보호구역 위험표지 ⇒ 억새꽃 군락지 ⇒ 팔각정 ⇒ 삼각봉 ⇒ 명성산 정상 ⇒ 궁예 능선방 향 ⇒ 신안 고개방향 (궁예능선방향보고 좌측)⇒ 신안폭..

참..... 이번 여행은 스펙터클하다. 태풍이 지나가고, 비가 쏟아지고, 해가 뜨고....... 지난 6월 말에 이어 두 달 만에 방문이다. 태풍 소식은 제주로 입도하고 다음날 들려왔고 아니나 다를까, 비바람에 하루는 그냥 날려 보냈다. 그리고 다음날도 비가 오르락내리락. 한번 내릴 때 무섭게 쏟아지는 비. 애견 동반 가능 숙소만 찾다 보니 어찌어찌 알게 된 곳. 조식도(물론 간단한 샌드위치) 주시고, 강아지가 산책할 수 있는 해변로도 있고. 다음번에도 재이용이다. 애견 동반 여행자들은 꼭 간다는 애견 동반자의 성지 카멜리아 힐. 그런데 여기도 조금 바뀌었다. 일단 몸무게 9kg 이상은 입장 금지다. 왜??? 애견 동반자들은 제주 오면 무조건 간다는 카멜리아 힐에서도 반려견 문제가 있는지 몸무게 제한을 ..

승일교. 아치가 멋진 아치교량이다. 철원에는 이런 말이 있다. 김일성이가 철원을 남한에 내준 거에 대한 아쉬움이 엄청 컸다고 한다. 개성을 내어주고 철원을 가져왔어야 한다고 통탄에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철원이 38선이북에 해당되어 북한이 점령했었다. 북한 애들 땅이란 소리다. 그때 짓기 시작한 다리이고, 6.25 전쟁 발발 이후 남한에서 북한에서 짓다만 다리를 완공하였다. 승일교끝에는 승일공원이 있다. 승일교라는 이름은 남한의 이승만의 승자와 북한의 김일성의 일자를 따서 승일교라고 지었다는 설이 있다. 승일교 밑에는 한탄강이 흐른다. 그리고 레프팅이 한창이다. 한탄 강하면 래프팅의 천국이다. 금요일부터 한탄강 주변에는 래프팅 하려는 사람들로 북적인다. 한탄강만큼 레프팅하기 좋은 강은 없는 거 같다..